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정렬
- System.err
- Switch Expressions
- 제네릭 와일드 카드
- auto.create.topics.enable
- annotation processor
- 바운디드 타입
- 함수형 인터페이스
- github api
- System.in
- 프리미티브 타입
- Java
- 람다식
- System.out
- junit 5
- 접근지시자
- Study Halle
- 스파르타코딩클럽
- 자바할래
- raw 타입
- 자바스터디
- 합병 정렬
- Effective JAVA
- 항해99
- 익명 클래스
- 브릿지 메소드
- 제네릭 타입
- 상속
- 로컬 클래스
- public 필드
Archives
- Today
- Total
코딩하는 털보
ITEM 17 불변 객체 본문
package me.rockintuna.effectivejava.item;
import java.math.BigInteger;
/*
변경 가능성을 최소화하라
*/
public final class Item17 {
/*
불변 객체 : 생성된 시점부터 파괴될 때 까지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객체
클래스를 불변으로 만들기
1. setter가 없어야함
2. 클래스를 확장할 수 없어야함 (대표적으로 final 클래스)
3. 모든 필드를 private final로 선언
4. 가변 객체를 참조하는 필드가 있다면 해당 필드를 사용하는 생성자, getter, readObject 메서드에서 방어적 복사를 한다.
불변으로 만들 수 없다면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하자
- 별다른 합당한 이유가 없다면 모든 필드는 private final
- 생성자는 초기화 작업, 불변식 설정이 완료된 객체를 생성
*/
private final int x;
private final int y;
Item17(int x, int y) {
this.x = 0;
this.y = y;
}
public int getX() {
return x;
}
public int getY() {
return y;
}
public Item17 plus(int x, int y) {
return new Item17(this.x + x, this.y + y);
}
//함수형 프로그래밍
//피연산자에 함수를 적용하여 결과를 반환하지만 피연산자는 그대로인 패턴
//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개발하면 불변이 되는 영역의 비율이 높아진다.
/*
불변 객체의 장점
설계, 구현, 사용이 쉽고 오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안전함
- 근본적으로 thread-safe, 추가적인 동기화 작업 불필요
-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객체의 중복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.
=> 모든 생성자를 private으로 하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제공하면 클래스를 확장할 수 없게 만들수도 있음
- 방어적 복사가 필요없다.
- 자유롭게 공유할수 있고 불변 객체끼리는 내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. (공유할 내부 데이터가 가변이더라도 수정할 방법이 없으므로 상관 없음)
- Map,Set 등의 객체에서 불변 객체를 구성요소로 사용하면 불변식을 유지하기 쉽다.
- 실패 원자성(예외가 발생해도 객체 상태는 유효해야 함)을 제공한다.
불변 객체의 단점
- 다른 값의 객체가 필요하면 반드시 새로운 객체로 만들어야 함 (내부 값이 여러 종류일수록 비효율적)
=> 가변 동반 클래스 (불변 객체 String 을 생성하는 다단계 연산을 제공하는 StringBuilder)
*/
private static final Item17 start = new Item17(0, 0);
public Item17 getStart() {
return start;
}
//쓰임이 동일한 불변 객체의 중복 생성을 방지한다. => 메모리 절약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