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
Tags
- 바운디드 타입
- github api
- 제네릭 타입
- 자바할래
- 항해99
- auto.create.topics.enable
- yield
- annotation processor
- System.out
- 익명 클래스
- System.in
- 스파르타코딩클럽
- 접근지시자
- 로컬 클래스
- 정렬
- 자바스터디
- 함수형 인터페이스
- 브릿지 메소드
- 프리미티브 타입
- 람다식
- 제네릭 와일드 카드
- throwable
- 상속
- raw 타입
- Study Halle
- 합병 정렬
- docker
- System.err
- junit 5
- Switch Expressions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2024/02 (1)
코딩하는 털보
싱글톤 패턴
목적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만 제공해야 할 때 사용한다. 언제일까? RestTemplate, JDBC 같은 외부 커넥션 풀을 만드는 인스턴스 전역 캐시 데이터 로그 기록 담당 클래스 이런 클래스들이 요청마다 생성된다면 매번 불필요한 객체 생성 과정이 발생하거나 메모리를 굉장히 비효율적이게 사용하게 될 수 있다. 특징 new를 사용해서 생성할 수 있게 하면 안된다. 싱글톤 인스턴스에 접근하게 해주는 클래스가 필요하다. public class WaitingQueue { private Queue queue = new PriorityQueue(); private static WaitingQueue instance; //처음에만 생성하고 두번째 요청부터는 생성된 싱글톤 인스턴스 반환 public static Wai..
카테고리 없음
2024. 2. 21. 00:34